이통사 번호이동 두달연속 100만건 넘어..'LG U+만 순증'

과열속 LG U+만 '웃음'..SKT는 순감폭 줄여
행정당국 제재 앞둬 시장 과열 줄어들듯..변수는 여전
  • 등록 2014-03-03 오후 3:23:06

    수정 2014-03-03 오후 3:23:06

[이데일리 김상윤 기자] 올해 들어 두달 연속 이동통신 번호이동이 100만건을 넘어서는 등 이동통신 시장이 지나치게 과열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금 전쟁 속에 이통3사중 LG유플러스만 가입자가 늘어나는 효과를 거뒀다.

3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 2월간 번호이동 건수는 총 123만6689건(자사 이동 미포함)으로 2개월 연속 100만건을 넘어섰다. 특히 2월에는 지난 1월(115만2369건)보다 8만4320건이 늘어났다. 지난해 12월 88만8414건이 이뤄진 것과 비교하면 시장이 갈수록 뜨겁게 달궈졌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한달동안 통신사업자간 점유율 경쟁이 촉발되면서 지나친 보조금 살포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SKT-KT-LG유플러스간 5:3:2 점유율 변화 조짐이 보이면서 ‘211대란’, ‘225대란’ 등 치열한 보조금 싸움이 벌어졌다.

실제 지난달 11일에는 하루만에 번호이동이 10만9112건을 기록했고, 12일에도 7만7219건, 25일에는 4만1690건이 이뤄졌다. 방송통신위원회의 번호이동 시장 과열 기준인 일 2만4000건을 훨씬 웃돈 수준이다.

사업자별로 살펴보면 LG유플러스와 알뜰폰 사업자만 가입자를 늘렸다. LG유플러스(032640)는 SK텔레콤, KT, 알뜰폰으로 28만8900명의 가입자를 뺐겼지만 30만7969명을 끌어와 총 1만9069명이 순증하는 효과를 보였다.

알뜰폰 가입자도 선방했다. 1만8253명이 MNO사업자인 이통3사로 넘어갔지만 6만6597명이 넘어오면서 총 48344명이 순증했다.

반면 SK텔레콤(017670)KT(030200)는 가입자를 빼았겼다. SK텔레콤은 49만2470만명이 유입됐지만 51만828명이 유출되면서 총 1만8358명이 순감했다. 다만 지난 12월(7만2904명), 1월(2만8579명)보다는 순감폭이 줄었다.

KT는 순감폭이 확대되면서 가장 저조한 수준을 기록했다. 36만7154명이 넘어왔지만 41만6209명을 빼앗기면서 총 4만9055명이 순감했다. 지난해 11월 이후 순감폭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상황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휴대폰 보조금 지급 경쟁을 둥단하라는 방통위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이통3사에게 45일 이상의 영업정지 제재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방통위 역시 사실조사를 마치고 과일경쟁을 주도한 사업자에게 2주이상 추가 영업정지를 내릴 예정이라 이번달부터는 시장 과열이 다소 주춤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영업정지 전 이통사들이 가입자를 최대한 끌어모을 수 있어 변수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이통업계 관계자는 “행정당국의 제재를 앞두고 이통사가 무리한 경쟁을 하지 않겠지만, 점유율 싸움이 걸려있는 만큼 스팟성으로 보조금 살포는 여전히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통사 2월 번호이동 현황 (자사이동 미포함, 단위=건수)




▶ 관련기사 ◀
☞LG유플, 한국정보인증과 #메일 공동 서비스..SKT와 달라
☞LG유플, 평촌에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짓는다
☞LG유플, 중소 결제 고객에 가맹점 마케팅 솔루션 제공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추위 속 핸드폰..'손 시려'
  • 김혜수, 방부제 美
  • 쀼~ 어머나!
  • 대왕고래 시추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I 청소년보호책임자 고규대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