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첨단 항공 엔진 개발을 위한 세미나’에서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첨단 항공 엔진의 국내 개발에는 10년이 넘는 오랜 시간과 수조 원에 달하는 국가 예산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현재 항공 엔진을 자체 기술로 개발할 수 있는 국가는 10개국 미만이다. 이들은 높은 수출 통제 등을 통해 항공 엔진 기술을 보호하고 있다. 현재 KF-21, 수리온 등 국산 항공기에도 외국산 엔진이 탑재되는데, 이를 수출할 때 엔진 생산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등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등에 따라 6세대 유무인 전투기에 대한 엔진 수입·수출은 엄격히 통제된다. K-21의 스텔스기 전환시에는 외국산 엔진을 탑재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
심현석 방위사업청 서기관은 “두 업체 모두 국내 독자 개발 시에는 2040년 전후 비행 시험이 가능한 수준의 엔진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고, 국제 공동 개발 시에는 2035년 전후 개발이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엔진 개발 경험이 많은 해외 유수의 기업과 협력하는 국제 공동 개발 시에 개발 기간은 단축될 수 있지만, 국내 기술 축적 수준은 독자 개발 대비 낮아지고 개발된 엔진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온전히 획득할 수 없어 향후 수출 등 활용에 제약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오랜 시간이 걸리는 요소 기술의 개발을 병행 추진해 최종 양산 단계에서는 소재까지 국산화 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정부의 첨단 항공 엔진 개발 계획에 따라 2026년 사업이 본격화 되면, 2039년까지 KF-21용 엔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김원욱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첨단엔진사업단장(전무)은 “13년의 기간과 3조 원 넘는 개발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되는데, KF-21 블록-Ⅲ(스텔스기)의 전력화 시기에 지장이 없도록 2년 정도까지 개발 기간을 축소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