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몰려올 정신건강 악화에 대한 ‘멘탈데믹’(mentaldemic) 주의보가 발령됐다.
특히 소득구간이 낮을수록 우울증상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면서 경제적 수준에 따른 정신건강 위험도가 극명하게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우울증상 유병률은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 원 미만인 소득 최하위 계층(32.8%)과 월평균 가구소득 500만 원 이상인 최상위 계층(13.4%)의 격차가 두 배가 넘는 2.4배였고, 불안장애의 경우 각각 46.5%와 27.9%로 그 격차가 18.6%p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생각’을 한 비율도 최하위 계층이 24.1%로, 최상위 계층(6.74%) 대비 약 3.6배 많았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생각’을 한 비율은 1인 가구가 13.5%로 분석돼 2인 이상 가구(7.7%)와의 격차는 1.8배였다.
이에 연구원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재난으로 인한 정신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 중재 프로그램’의 마련 △정신건강 인프라에 대한 취약계층들의 물리적, 심리적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의 제공 △팬데믹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낙인 인식을 해소하는 정책 등을 제시했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국민 정신건강 위험이 전염병처럼 확산하는 멘탈데믹에 대비해야 한다”라면서 “신종 감염병에 대한 불필요한 편견과 공포의 확산을 방지하고, 우리 사회의 약자들과 취약계층들의 형편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