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이준기 기자, 베이징=신정은 특파원] “물론 과거 고도성장기만큼 경제성장률이 나올 순 없겠지만, 연간 5%면 저성장으로 볼 수밖에 없겠죠. 한국 전체 수출 가운데 25%가 대중(對中) 수출에 집중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성장 둔화는 우리 기업에 악재인 건 당연합니다.”(재계 고위 관계자)
미국과 함께 글로벌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는 G2 국가인 중국의 성장이 급속히 둔화하는 모양새다. 이미 예견돼오긴 했으나 대중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로선 적잖은 타격이 불가피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 등 중국 외 신흥국이나 선진국 등으로 수출 지역을 다변화하는 이른바 ‘지역 포트폴리오 재편’과 중국 로컬 제품과 경쟁할 만한 신기술을 장착한 제품 출시 등의 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올해 한·중 수교 30주년을 맞이한 만큼 차기 정부가 다각적인 외교적 접근을 통해 우리 기업을 측면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도 적잖다.
| (그래픽=김일환 기자) |
|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작년 4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성장률)은 4.0%로 잠정 집계됐다. 미국 로이터통신 전문가들의 예상치인 3.6%를 웃돌긴 했으나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충격이 한창이던 2020년 2분기 이후 1년 반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중국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8.3%로 최고점을 찍은 후 2분기 7.9%, 3분기 4.9% 계속 둔화세가 커지는 양상이다. 중국의 2021년 연간 GDP 성장률은 8.1%였다. 로이터 전문가 예상치인 8.0%를 소폭 웃돈 수치다. 그러나 이 역시 코로나19 충격이 가장 컸던 2020년과 비교한 기저효과 영향이 컸다. 2020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2.2%에 그친 바 있다. 지난 2년간 평균 성장률은 5.1%로 집계됐다.
중국 정부는 하반기부터 이어지는 경제 성장 둔화 우려에 대응하고자 최근 들어 경기부양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꺼내고 있다. 이날 인민은행이 유동성 확대를 위해 1년 만기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대출 금리를 2.95%에서 2.85%로 0.1%포인트 인하한 게 대표적이다. MLF 금리를 내린건 2020년 4월 이후 21개월 만에 처음이다.
문제는 우리 기업이 받을 타격이다. 지난해 말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가 내놓은 ‘국내 수출의 특징과 향후 과제’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는 25.3%로 다른 주요국과 비교해 최상위 수준이다. 보고서는 대중 수출이 10% 줄면 국내 경제 성장률은 0.56%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산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우리나라 경제는 전반적으로 중국 경제에 의존하는 측면이 있는 만큼 중국의 성장 둔화는 기본적으로 악재”라고 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성장 둔화도 문제지만, 중장기적으로 중국은 우리 상품의 수요를 대체하려는 리스크가 더 크다”며 “고도성장이 가능한 베트남 등 아세안이나 혁신기업이 몰려 있는 미국 등 선진국 쪽으로 시선을 돌리고 있다”고 했다. 최원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국이 저탄소 경제시대를 준비하면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인 만큼 우리 기업들 역시 탈(脫) 탄소 대응에 속도를 내는 쪽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