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40억 달러(약 55조원)에 트위터를 인수하기로 한 일론 머스크. 머스크는 인수 계약이 성사된 뒤 “언론 자유는 민주주의를 실행하는 기반이며, 트위터는 인간의 미래에 중요한 문제를 논의하는 디지털 광장”이라고 언급했다.
머스크의 트위터에서는 콘텐츠 관리 방식이 어떻게 바뀔까? 트위터는 2016년 미국 대선에서 허위 정보 확산이 문제가 된 뒤 부적절한 게시물을 삭제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2021년 1월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 계정(@realDonaldTrump)을 영구정지하기도 했다. 조 바이든의 대선승리를 공식 인증하는 절차가 미 연방 의사당에서 이뤄지는 도중 습격으로 민간인 넷과 경위 한명이 숨진 가운데, 트럼프가 그들을 “애국자들”이라고 부른 것은 추가적인 폭력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하지만 머스크는 당시 “트위터가 사용자의 트윗을 내리거나 영구 정지를 결정할 때 신중해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트위터의 게시물 삭제 정책을 비판했다. 그런 그가 트위터를 인수하면서 트위터를 비상장사로 만들겠다고 하자, 투자자나 정부 규제 당국 등 외부 개입을 최소화한 서비스로 바꾸려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국회 과방위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5년 간 발생한 대한민국 불법명의(대포폰·대포통장 등)거래 정보에 대한 시정조치는 총 8111건으로, 이중 트위터가 1981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다음(682건),구글(383건), 인스타그램(259건),네이버(129건), 페이스북(77건)이었다.
2021년의 경우 불법명의 거래정보 시정조치 659건 중 트위터 380건으로 전체 58%나 됐다. 이에 따라 양 의원은 이용자의 이익을 저해하는 불법정보 유통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거나 시정요구를 할 수 있는 전문가들로 구성된 ‘이용자위원회’를 주요 정보통신 서비스 기업에게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머스크 특유의 실행력을 지켜봐야 하지만, 글자 수가 제한되고 텍스트 위주인데다 실시간 뉴스 습득이 주목적인 트위터의 한계는 분명하다”며 “머스크 말대로 콘텐츠 검열을 없애면 콘텐츠 양은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극단적인 의견이 많아지면 일반 이용자는 떠나고 대형 광고주가 이탈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트위터의 지난해 4분기 매출 15억 7000만 달러의 90%는 광고 매출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