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국토부에 따르면 2007년 무안공항 개항 당시 설치된 방위각 시설은 콘크리트 둔덕 위에 고정돼 있고 활주로 끝단으로부터 264미터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다. 활주로 끝에서 착륙대 끝까지는 60미터, 착륙대에서 활주로 종단안전구역까지는 199미터이며, 종단안전구역에서 5미터 떨어진 곳에 방위각 시설을 지지하는 콘크리트 둔덕이 있다. 사고가 난 제주항공 항공기는 이 콘크리트 둔덕에 부딪히며 폭발, 179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
① 종단안전구역, 콘크리트 둔덕 포함이냐 아니냐
무안공항의 종단안전구역을 어디까지로 볼 것이냐가 핵심 쟁점 중의 하나다. 항공장애물 관리 세부지침(제23조 3항)에 따르면 공항부지에 있는 장애물로 간주되는 모든 장비나 설치물은 부러지기 쉬운 받침대로 장착해야 된다. 이는 착륙대, 활주로 종단안전구역 등의 내에 위치하는 경우로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둔덕은 종단안전구역 밖에 있어 이러한 지침을 적용받지 않는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그런데 공항·비행장시설 및 이착륙장 설치기준 등에 따르면 종단안전구역을 방위각 시설이 포함되는 위치까지 연장하도록 정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무안공항의 종단안전구역은 콘크리트 둔덕 위에 있는 방위각 시설까지로 연장된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도 ‘방위각 시설은 정밀접근 활주로의 첫 번째 장애물이어야 하고 종단안전구역은 이 시설까지 확장돼야 한다’고 규정해 국내 기준과 유사하다. 미국항공청(FAA) 규정은 ‘방위각 시설은 종단안전구역 끝을 넘어 위치해야 하며 최소 거리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러한 국내외 기준에 따라 방위각 시설이 시작되는 시점까지를 종단안전구역으로 봐야한다고 밝혔다. 방위각 시설을 고정한 콘크리트 둔덕을 모두 포함해 종단안전구역으로 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해석했다.
또 무안공항의 종단안전구역은 방위각 시설까지 199미터로 최소 사항인 90미터 이상을 확보해 규정에 맞게 건설됐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다만 권고 기준 240미터보다는 짧다. 이에 따라 무안공항은 활주로 연장공사를 실시하면서 종단안전구역을 240미터까지 확장하는 공사를 진행하고 있었다.
|
② 왜 콘크리트여야 했나
방위각 시설을 고정하는 지지대가 왜 콘크리트였는지에 대해서도 계속해서 의문이 제기된다.
무안공항은 2007년 개항 당시부터 방위각 시설을 콘크리트로 고정하고 있었다. 방위각 시설을 고정하는 콘크리트 둔덕은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설계를 추진하고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시공해 2007년 개항했다. 첫 시공 당시부터 높이 1.8미터, 폭 0.26미터, 너비 3미터의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19개로 받치고 땅이 기울어져 약 1.5미터로 흙더미를 경사지게 쌓았다.
시설 관리를 맡고 있는 한국공항공사는 부산지방항공청의 인·허가를 받아 2020년 5월부터 올 2월까지 방위각 시설을 콘크리트에 더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한 개량 사업을 한다. 방위각 시설이 태풍 등 강풍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2020년 5월부터 8월까지 설계를 추진하고 2023년 9월부터 올 2월까지 시공해 기존 19개 기초 콘크리트를 0.3미터씩 깎아내고 그 위에 두께 0.3미터, 폭 42미터, 너비 3.4미터의 콘크리트 상판을 설치했다. 둔덕 위 콘크리트 기초와 상판 사이를 흙으로 채우고 높이 0.4미터를 추가로 마감해 외관상 총 높이 0.7미터의 구조물이 설치됐다.
이렇게 더 단단해진 콘크리트 구조물이 공항에 설치될 수 있었던 것은 종단안전구역 밖에 위치하는 시설이기 때문이다. 종단안전구역 밖에 설치되는 시설물에 대해선 별도로 규제가 없는 상태라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는 “국내외 규정을 검토한 결과 종단안전구역 밖에 위치하는 시설에 대한 재질과 형상에 대한 별도 규제가 없는 상태”라며 “이에 따라 방위각 시설이 현행 국내외 규정에 위배된다고 해석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
③ 착륙대 240미터룰, 왜 안 지켰나
종단안전구역과 무관하게 공항안전운영기준에 따르면 착륙대에서 240미터 이내에 방위각 시설을 설치할 경우 장비와 시설 규격을 제한하고 있다. 240미터 내 지역에 설치하는 시설 및 장비 등은 부러지기 쉬워야 하며 가능한 낮게 설치돼야 한다.
그러나 무안공항의 콘크리트 둔덕은 착륙대에서 204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을 뿐 아니라 방위각 시설은 콘크리트 지지대 2.26미터를 포함해 총 4.14미터 높이에 달한다.
이와 관련 국토부는 “착륙대로부터 240미터 이내에 항행안전시설 설치 시 규격을 제한하고 있는 ‘공항안전운영기준’ 제109조 규정 등은 2010년부터 적용됐다”며 “무안공항이 건설됐던 당시엔 적용되지 않는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다만 2010년 이후 공항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최대한 기준에 부합되도록 공항 시설을 개선했어야 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무안공항은 2020년 방위각 시설 개량 사업을 했지만 2010년에 바뀐 규정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공항 시설을 개선하는 사업을 하면서도 국토부가 스스로 만든 규정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은 것이다.
국토부는 “안전성이 확보되는 방향으로 신속히 검토해 향후 안전점검 및 대책 수립에 반영하겠다”며 “국제기준을 도입하면서 만든 건설 기준과 운영 기준이 서로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향후 일관성 있게 정비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