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전달보다 5조 1000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8월 9조 7000억원까지 증가 폭을 키웠다가 금융당국·은행권의 대출 조이기로 석 달째 둔화하는 흐름이다. 하지만 억눌린 대출 수요가 새마을금고·농협 등 제2금융권으로 옮겨가면서 ‘풍선효과’로 이어지고 있다.
|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
|
11일 금융위원회의 ‘11월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폭은 10월(3조 8000억원)보다 절반으로 줄어든 1조 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보금자리론 감소세 축소 등으로 정책성 대출 증가 폭이 2조 3000억원으로 늘었으나, 은행 자체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감소한 영향이다. 은행권 주담대는 한 달 동안 1조 5000억원 늘어 증가 폭이 전월(3조 6000억원)에 비해 절반 이하로 줄었다.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주택거래 감소 등 부동산 상승세가 둔화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 증가 폭은 전월(3000억원)보다 1000억원 늘어난 4000억원이었다.
그러나 대출자들이 2금융권으로 몰리는 풍선효과 탓에 지난달 2금융권 가계대출은 3조 2000억원이나 늘었다. 이 같은 증가 폭은 지난 2021년 7월(5조 7000억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대 기록이다. 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는 새마을금고·농협에 쏠렸다. 새마을금고 가계대출은 지난 한 달간 1조원 급증했다. 두 달 연속 1조원이 늘었다. 농협도 지난달에만 가계대출이 전달(2000억원)의 2배인 4000억원이 증가했다. 이미 체결된 주택 거래나 신규 입주 주택에 따른 잔금 대출 등이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업권별로 보면 새마을금고와 농협을 포함한 상호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 폭(1조 6000억원)이 2금융권 전체의 절반을 차지한다. 다음은 보험사 6000억원, 여신금융전문회사(여전사) 6000억원, 저축은행 4000억원 순이다. 금융당국은 이날 새마을금고·농협중앙회, 5대 은행 등을 불러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대출 관리를 당부했다. 최근 증가세가 확대하고 있는 2금융권 가계대출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특히 상호금융권이 부동산·건설업 대손충당금 규제 강화 유예로 생긴 자금 여력을 주택 관련 가계대출에 활용하지 말라고 요청했다.
금융당국은 “부실채권 정리, 손실흡수 능력 확충, 지역 서민·취약계층을 위한 중금리 대출 확대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충당금 적립률은 올해 말 120%, 내년 상반기 말 130%로 확대될 예정이었지만 내년 상반기 말 120%, 내년 말 130%를 적용하기로 연기한 바 있다. 대출 금리 산정 체계를 점검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금융회사의 금리는 시장 금리 흐름을 충실히 반영할 필요가 있다”며 “금융회사가 먼저 가산금리 등 대출 금리 산정체계를 점검하고 소비자에게 점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당국도 필요 시 살펴볼 계획이다”고 말했다.
당분간 가계대출은 급증하지 않을 전망이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수도권 중심 주택매매 거래 둔화와 은행권의 가계대출 관리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전반적 둔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당국은 올해처럼 특정 기간에 가계대출이 편중되지 않도록 내년에는 분기별, 월별로 관리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