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별로 암호화폐 평가 기준이 달라 수치는 차이가 나지만, 1년전과 비교했을 때 폭등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빗썸시장지수(BTCI)는 오늘(7일)오후 4시 기준 3417을 기록해 2021년 1월 7일 743에 비해 460%가 증가했다. 업비트디지털자산지수(UBCI) 역시 오늘(7일) 오후 5741.88을 기록해 폭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빗썸시장지수(BTMI)는 빗썸에 상장된 모든 암호화폐의 가격 추이를 종합해 산출한다. 업비트디지털자산지수(UBCI) 역시 마찬가지인데, 거래량이 많은 빗썸의 지수가 업비트보다 낮은 것은 산출 방식이 다르고 상장된 코인수도 다르기 때문이다. 빗썸에 상장된 코인수는 135개, 업비트는 그보다 많은 140개다.
빗썸 관계자는 “지난 5일 창립 7주년을 맞았는데 지난해 3분기 현재 누적 가입자 수 500만명을 돌파해 국내 거래소 중 가장 많은 회원을 확보했다”며 “유동성도 국내 최대 수준으로, 일일 최대 거래금액 7조6000억원(2018년 1월 16일), 월 최대 거래금액 115조원(2018년 1월)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특금법으로 대형 거래소 유리해져
업계에서는 오는 3월, 특금법(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돼 9월까지 가상자산 사업자(VASP) 라이선스 획득 사업자가 나오면 빗썸과 업비트 등 대형 거래소를 중심으로 한 투자 쏠림 현상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 암호화폐 거래를 시작한 네이버가 국내에서 거래소를 열지도 관심이다. 금융당국이 특금법 시행에 맞춰 좀 더 건실한 사업자의 참여를 원한다는 얘기도 나온다.
오더북 금지로 실익 적어 vs 결제 붙이면 게임 끝
최 위원은 “특금법에서 오더북(거래장부)공유를 못하게 해 빗썸, 업비트 등 몇몇 대형 거래소가 유리해졌다”며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와 거래 장부를 공유해 거래 유동성을 높여왔던 후오비코리아, 에이프로빗 등은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고, 일본에서 암호화폐를 상장한 네이버도 국내에서 거래소를 열 유인이 줄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일본 자회사 라인의 암호화폐 링크(LINK)를 일본 거래소 비트맥스에서 거래하기 시작했다 링크는 라인과 라인의 블록체인 자회사 LVC가 공동으로 설립한 싱가포르 법인 ‘라인테크플러스’에서 라인의 블록체인 ‘링크체인(LINK Chain)’ 기반으로 발행한 암호화폐다.
하지만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는 “거래소 시장도 수수료로 먹고 살기 어려워질텐데 네이버가 마음만 먹으면 페이팔처럼 네이버페이에 비트코인을 붙여 사고 팔게 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리 되면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판도가 한꺼번에 변할 것이다. 신한은행이 디지털자산 커스터디(수탁·보관) 시장진출을 위해 전문기업인 한국디지털자산수탁(KDAC)에 투자하는 등 비트코인 강세로 판이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