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안전벨트를 끝까지 당겨서 오염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안전벨트에서 세제 냄새가 나거나 교체 흔적이 있다면 침수차일 가능성이 높다.
탑승하면서 바로 차 안의 냄새도 확인해야 한다. 침수차는 특유의 습한 냄새, 곰팡이 냄새처럼 퀴퀴한 냄새가 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차의 모든 문을 닫고 에어컨을 작동시켜서 악취가 나는지 살펴야 한다. 건조과정을 거쳤어도 악취가 남는다.
엔진룸에 마련된 퓨즈박스가 지나치게 새 것이라면 침수를 의심해야 한다. 퓨즈박스는 침수가 됐다면 고장이 날 수밖에 없다. 침수차의 퓨즈박스는 신품으로 교체했을 가능성이 크다. 퓨즈박스를 고정하는 볼트나 배선 등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시트 아랫부분에는 침수의 흔적이 남기 쉽다. 시트 아랫부분은 젖으면 잘 마르지도 않아 얼룩이나 곰팡이, 흙 등의 잔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시트를 지지하는 철 부품 등에 녹이 슬었을 확률도 높은 편이다. 연료 주입구 근처에 오염물질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보험개발원의 자동차이력정보서비스(카히스토리)를 조회하면 침수 여부를 알 수 있다. 차량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하면 침수차를 무료로 조회해준다. 다만 자동차보험으로 보상받은 침수차만 파악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