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용수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운용본부장은 30일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연구원이 주최한 ‘최근 경제 여건 변화와 자산운용업계 수익률·신뢰성 제고 방안’ 세미나에서 진행된 패널토론에서 “한국 펀드 시장에서 ETF 비중이 5% 수준으로, 미국(16%)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ETF가 ‘수요 증가’와 함께 상품 다양화가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에 따르면 지난 2년간 국내 ETF 시장 규모가 약 51조원, 상품 개수는 270여 개가 증가, 개인 투자자 비중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남 본부장은 “현업 입장에선 ETF 시장은 수요 증가와 함께 상품 다양화가 이뤄지고 있다”며 “패시브와 액티브 둘로 나누는 것은 기관투자자 입장에서 필요한 부분이나 각각의 효율성을 평가하기에는 금융투자협회와 한국거래소가 ETF 관련 규제를 굉장히 빠르게 바꾸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시장 쏠림을 완화하기 위해선 투자자 교육, 전문 교육 상품 제공하는 운용사 입장에서 리서치를 통한 룰과 전략 고민하고 투자자 재무 목표를 위한 ETF를 활용한 솔루션이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