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리에 참석한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100일을 맞이한 윤석열 정부의 성적표는 초라해 보인다”고 말문을 열었다. 우 비대위원장은 “최근 국민의 실망이 너무 높았기 때문에 쇄신이 필요하다”며 “정책도 잘 다듬어야 하고 정책을 지탱할 인사 쇄신도 필요하고 대통령의 태도나 집권 세력의 자세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민주연구원 원장을 맡은 노웅래 의원은 “윤석열 정부는 출범과 동시에 레임덕에 빠졌다”며 “출범 100일이 지나도록 향후 5년간의 국정운영 청사진도 제시하지 못해 국민은 불안하기만 하다”고 말했다. 이어 노 의원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 대통령과 참모는 보이지 않는다. 대통령이 못하면 여당이라도 뒷받침해야 하는데 여당은 내부 권력다툼으로 허송세월을 이어가고 있다”며 “최근 수도권과 중부지방을 강타한 수해는 윤석열 정부의 총체적 난맥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우왕좌왕 갈팡질팡 그 자체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최배근 건국대 교수(경제), 김준형 한동대 교수(외교안보), 김성천 한국교원대 교수(교육), 박용수 연세대 국가관리연구원 전문연구원(인사)이 발제를 맡았다.
최 교수는 “민생 위기 상황에서 재벌과 고액자산가 세금 부담 경감을 위한 세재 개편이나 환율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의 외환거래 사전신고 폐지 추진, 공기업과 국유재산 민영화 등 대통령의 잘못된 경제철학이 위기의 단초가 됐다”고 지적했다. 김준형 교수는 “윤석열 정부의 문재인 지우기가 대외정책 영역에도 그대로 작동해 `전략적 모호성`이라는 정책을 공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성천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교육 정책에 대한 학습 및 관심, 철학이 부족한 상태다. 교육의 특성보다는 산업의 시선에서 교육을 바라보고 있어 정책 방향이 엉키고 있다”고 발표했다. 박용수 전문연구원은 “윤석열 정부의 검찰 국가화 시도는 1987년 민주화 이후 가장 직접적인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