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조세연) 이재원 연구원·김우현 부연구위원은 ‘우리나라 탄소세 부과가 가계에 미치는 분배효과’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재원 연구원은 통화에서 “탄소세를 거둬 기본소득을 지급하기보다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를 지급해 저탄소 소비를 장려하거나, 전 국민이 아닌 저소득층에게 선별 지원하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발의된 법안 등을 분석한 조세연은 ‘기본소득 탄소세’에 대해 정반대 입장을 표했다. 조세연은 보고서에서 “정률로 세수를 재배분하는 것은 소득 증가에 따른 에너지재 소비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며 “탄소배출을 억제하고자 하는 정책 목표와는 상충”된다고 꼬집었다.
조세연은 “탄소세의 세수를 모든 구성원들에게 정률로 배분하는 경우 역진성은 저지출 분위(저소득층)에서 일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지출 분위(고소득층)로 갈수록 해소되지 않는 모습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소득 격차가 있는데 똑같이 나눠주는 방식으론 불평등이 해소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조세연은 이재명 후보의 지역화폐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당시 연구진은 “정부가 관리하는 온누리상품권으로도 소상공인 지원이 가능한데도 지자체가 지역화폐를 우후죽순 발행하는 것은 지역 정치인들의 정치적 목적”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