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첫 공약 발표로 ‘디지털 대전환’을 꼽은 이유에 대해 “미래에 대한 희망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에 극단적인 형태의 저출산이라고 하는 병리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우리 사회가 가진 자원을 공정하게 배분해 성장 잠재력을 회복할 수 있다”며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국제 경쟁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선 산업 전환이 필요하고, 정부 규제 방식도 바꿔서 신사업이 빠르게 창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국 바이든 정부의 디지털 인프라 고도화 전략, 중국의 디지털 인재양성 전략, EU의 디지털 컴퍼스(Digital Compass) 2030 전략 등 세계 각국이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경쟁을 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경쟁에서 뒤처져선 안된다는 것이다.
우선 이 후보는 디지털 영토 확장을 위한 물적·제도적·인적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데이터의 수집·축적·전달을 위한 ‘3대 물적 인프라’ 즉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5G와 6G 물적 인프라 등을 구축하고, 제도적으로는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를 도입해 과잉·중복규제를 없애겠다고 설명했다. 또한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을 강화, ‘디지털 미래인재’ 100만명을 양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기술혁신이 초래하는 갈등을 조정할 기구를 대통령 직속으로 상설화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이 후보는 이러한 구상을 실현하기 위한 135조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다. 물적·제도적·인적 인프라 투자에 국비 30조원, 전통산업의 디지털 전환, 신산업 영토 확장, 창업기업 성장지원 등에 국비 40조원, 디지털 주권 보장에 국비 15조원 등 국비 85조원과 함께 지방비와 민간 투자 참여 등을 포함한 135조원의 투자를 하겠다는 게 이 후보의 청사진이다. 이를 통해 일자리 200만개 이상을 창출하고, 향후 수십 년간 연 30조원 이상의 추가적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국가와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대한민국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디지털 대전환을 성공시켜 성장회복의 토대를 마련하고 반드시 경제를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