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기가인터넷 품질이 최저보장속도(SLA)를 미달하는 경우가 절반(47.3%)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KT 10기가 인터넷 최저보장속도 미달 63.9%
10기가 가입자가 178가구로 가장 많은 KT가입자의 경우 10가구 중 6가구가 개통 시 SLA(3Gbps)를 미달한 것으로 나타났다.(미측정한 경우 제외)
이는 타 사업자가 판매한 34가구 10기가 인터넷 가입자의 경우 개통시 SLA를 미달한 자가 없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 같은 결과는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 청주시청원구)이 과기부-방통위 실태점검에서 드러난 ‘10기가인터넷 개통 시 속도측정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
또한 1G, 2.5G, 5G, 10G 등 1기가급 이상 인터넷 의 경우 개통 시 미측정한 가구를 제외한 약 9만6천가구 중 SLA미달은 약1만3천가구로 13.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가입자 10명 중 1명은 SLA를 충족하지 못하는 인터넷서비스를 설치한 것이다.
1기가급 인터넷의 SLA미달비율은 KT 17.9%, SKB 0.1%, SKT 0.2%, LGU+ 0.1% 순이었다.
|
통신 4사의 약관상 최저보장속도(SLA)는 2.5G 상품은 1G, 5G 상품은 1.5G, 10G 상품은 3G로 동일하며, 1G 상품의 경우 LGU+(300M)를 제외하고 500M다.
상품별 최저보장속도가 하위 상품의 최대속도보다 낮은 것을 고려해보면, 10기가 가입자 중 SLA를 미달한 약 절반의 가입자는 요금이 약 3만원 가량 저렴한 5기가인터넷의 최대속도보다도 못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셈이다.
고객양해확인서 받은 KT…변재일 “품질 책임을 고객 동의로 무마하는 행태”
KT는 방송통신위원회 조사과정에서 <고객양해확인서>를 통해 SLA 미달한 고객에 대해서는 양해 동의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변재일의원은 “SLA 미달과 관련해 사업자는 일부 고객 동의를 받았다는 입장이나 이는 사업자의 품질관리에 대한 책임을 가입자의 동의로 무마하려는 행태”라고 지적했다.
|
10기가 인터넷 촉진했던 과기부도 품질저하 방조 책임
한편 기가인터넷 상용화는 2015년 과기정통부가 ‘K-ICT 초연결지능망 발전전략’을 발표하면서 추진된 사업이다.
당시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 10Gbps 상용화를 추진하고 2020년 확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또한 정부는 2018년부터 KT 및 SKB 컨소시엄에 정부예산 88억원을 지원하여, 전송장비 개발 등 기가인터넷의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과기정통부는 주요 국정과제로 10기가인터넷 촉진사업을 추진하며 예산지원까지 해왔지만 10기가인터넷의 품질관리는 소홀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과기정통부는 지난 7월 21일 보도자료를 통해 △10기가급 인터넷 최저보장속도 50%상향, △인터넷속도 피해보상절차 간소화, △최저보장 속도 안내 강화 등 초고선인터넷 정책개선방향을 발표했지만 품질저하가 발생하는 근본적 원인 규명과 통신사 제재조치 방안 등은 제시하지 않았다.
변 의원은 “과기정통부가 사업자의 최저속도미달 등 품질저하 문제를 방조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하기 위해서는 댁내 실제 품질을 집중점검하고, 품질이 충족되지 못하는 지역에서는 판매할 수 없도록 하며, 기가급인터넷 품질평가 등의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