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땀 한땀 다섯 달…화려해서 명품이 아니다

'거품 잔뜩 낀 가격' 동의어 된 명품
여전히 고객 지갑 열게 만드는 이유 담아
브랜드 장인정신·역사·철학·가치…
'지속가능한 럭셔리'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
…………………………………………………
명품, 영원한 가치를 꿈꾸다
마크 턴게이트|406...
  • 등록 2013-08-16 오전 7:08:00

    수정 2013-08-16 오전 7:08:00

[이데일리 오현주 기자] “그 스포츠카는 당연히 내 눈길을 사로잡았다. 반짝이는 오렌지색 탄소섬유로 만든 테슬라 로드스터. 가격은 8만 4000유로(약 1억 2400만원). 시속 100㎞에 도달하는 제로백 시간은 3.9초. 더 놀라운 건 완전히 전기로만 움직인다는 거다. 이제껏 차를 가질 필요를 전혀 느끼지 못했지만 테슬라의 운전대는 잡고 싶어 손이 근질거렸다.”

분명 취향이다. 모든 사람이 전기차 테슬라에 혹하진 않을 거다. 하지만 기꺼이 공감하는 범주는 있다. 럭셔리 혹은 명품이란 거다. 그런데 더 이상 클래식하지만은 않다. 명품도 진화한다.

1911년 프랑스 패션디자이너 폴 푸아레가 ‘로진’이란 향수를 출시했다. 첫 딸의 이름을 붙였다. 향수의 대명사 격인 ‘샤넬 넘버5’가 만들어진 건 10년 뒤인 1921년. 이 향수들은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오는 전환기에 바뀐 패션디자이너들의 생각을 반영한 것이다. 부유층 여성을 대상으로 고가의 드레스를 내놓던 이들이 수입극대화를 위해 시장의 다각화를 꾀한 조짐이기 때문. 이때를 기점으로 날렵하고 맵시있게 ‘잘빠진’ 향수병은 명품 브랜드의 세계를 훔쳐볼 수 있는 프리즘이 됐다. 1970년 무렵이 되자 명품은 향수병 안에만 머물지 않았다. 라이터·펜·시계·열쇠고리 등등 별스런 아이템들이 프리미엄 가치를 뿜어내며 대중을 유혹하기 시작한 거다.

선별적이고 배타적이며 희귀하고 세련됐다. ‘고급 취향에 맞춰져 그저 가지고 싶다는 욕망을 불러일으키는, 그 카테고리 안에서 거의 유일한 브랜드.’ 모던보다는 올드하고 듬직하지만 고지식한 그 브랜드가 여전히 상류층의 지갑을 열게 하는 이유는 뭔가.

▲“명품은 필수품이다”

명품은 고가에 걸맞은 품질을 추구하는 명실상부한 브랜드다. “예전에는 특별한 사람의 일상이었으나 이제는 일상 가운데 특별함이 됐다.” 영국 출신 저널리스트인 저자가 이 틀에 맞춰, 명품을 누리고자 하는 사람의 의지를 봤다. 삶의 품격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란 의미다. 명품을 탐하는 게 단순히 좋은 물건에 대한 욕심은 아니다. 품질과 가치라는 확실한 보증이 뒷받침될 때 물건은 인생의 풍미를 더해주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자는 구두·패션·보석·시계 등 일찌감치 구획된 품목은 물론 매장·요리·지식경제·디지털까지 명품의 개념을 확장한다.

처음엔 희귀함과 귀족적인 차원이었다. 존재 자체에 가격을 매기며 기성품과의 격차를 벌려놨고 대다수는 접근조차 불가능하다는 인상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 그러나 명품의 대중화와 더불어 정의도 바뀐다. ‘세련’은 남았으나 ‘선별’은 줄어든, ‘접근할 수 없는 것과 대중적인 것’으로 변모한 거다. 그렇게 21세기부턴 명품도 기업화돼 갔다. 기존 명품 브랜드가 이윤에 굶주린 기업의 손에 하나둘씩 들어가면서부터다. 대중시장을 겨냥한 구애는 더욱 강력해졌다. 선글라스·스니커즈·스카프·벨트·지갑 등의 가격을 낮춰 대중들의 애간장을 태우는 전략으로 접근한다.

하지만 이쯤되자 명품 브랜드의 대중화에 대한 자성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거물들이 명품만의 특별함을 내다버렸다는 탄식이다. 그래서 명품이 단지 ‘거품이 잔뜩 낀 가격’과 동의어가 됐다는 거다. 이 움직임은 여론과 매체가 부풀린 대중적 명품의 열풍을 꺼뜨리기 위한 노력과 맞물렸다. 명품 브랜드를 본연의 자리로 돌려놓자는 ‘의식’이다.

▲명품, 그 화려함의 이면

성공한 브랜드가 공통으로 자랑하는 것이 있다. 위대한 스토리다. 특히 명품업계에는 빈털터리에서 부자가 된 전설이 가득하다. 책이 세세히 들여다본 부분도 이것이다. 명품이란 단어에 함축된 ‘장인정신’도 거역하지 않았다. 열여섯 살부터 프랑스에서 도제생활을 했다는 구두장인 피에르 코르테도 그중 한 명. 그의 맞춤구두가 완성되는 데는 대략 다섯 달, 50~60시간 정도가 걸린다. 하지만 “그의 구두는 20년이 너끈하다.” 3000~7000유로(약 440만∼1000만원)의 가치는 그렇게 환원됐다.

현대 여성의류가 절대적으로 빚을 지고 있다는 이브 생 로랑도 빠질 수 없다. 그가 특별한 건 디자이너의 평범한 역할을 깬 데 있다. 전통적으로 프랑스 여성복 디자이너는 자신의 스타일을 추구하기보다 고객의 변덕에 휘둘릴 수밖에 없는 초라한 공급자에 불과했던 터다. 생 로랑은 기성복을 입고 싶은 욕심이 나게 한 첫 번째 디자이너가 됐다.

프랑스 구두장인 피에르 코르테의 구두 공정 모습. 맞춤구두 한 켤레를 완성하는 데 대략 다섯 달이 걸린다(사진=컬처그라퍼).


▲지속가능한 럭셔리가 명품

저자는 명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다졌다. ‘가치’다. 진정한 가치는 결국 스스로가 만들어 나가는 것이란 데 방점을 찍었다. 겉보기만 화려한 거품 브랜드와 명품은 구분돼야 한다. 이를 좌우하는 건 철학. 정신이 빠져버린 브랜드는 그저 비싼 물건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명품에 대한 무조건적 찬사는 배제했다. 럭셔리에 묻어 있는 부정적인 울림도 애써 제거하진 않았다. “명품은 돈으로 측정할 수 없다.” 가격이 비싸단 의미가 아니다. 가치가 비싸단 얘기다.

다만 지속가능한 럭셔리여야 한다고 했다. 이런 말은 어떤가. “샴페인이란 이름이 오늘날 무엇인가를 의미하게 됐다면 그건 그 이름이 존중받도록 그만큼 애쓴 덕분이다.” 한마디로 ‘좋은 재료를 써서 충분한 시간을 들여 잘 만들고 그 결과물을 음미하는 것’이 명품이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가치를 못 캐낸다면 명품에 그토록 목맬 자격이 없다는 의미로 충분히 읽힌다.

이데일리
추천 뉴스by Taboola

당신을 위한
맞춤 뉴스by Dable

소셜 댓글

많이 본 뉴스

바이오 투자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왼쪽 오른쪽

스무살의 설레임 스냅타임

왼쪽 오른쪽

재미에 지식을 더하다 영상+

왼쪽 오른쪽

두근두근 핫포토

  • 박결, 손 무슨 일?
  • 사실은 인형?
  • 왕 무시~
  • 한라장사의 포효
왼쪽 오른쪽

04517 서울시 중구 통일로 92 케이지타워 18F, 19F 이데일리

대표전화 02-3772-0114 I 이메일 webmaster@edaily.co.krI 사업자번호 107-81-75795

등록번호 서울 아 00090 I 등록일자 2005.10.25 I 회장 곽재선 I 발행·편집인 이익원

ⓒ 이데일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