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10,000건 이상
- 포스코홀딩스, 실리콘음극재 생산설비에 591억원 투자
- [이데일리 박순엽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차세대 음극재로 주목받는 실리콘음극재 생산을 위한 본격 준비에 들어갔다. 포스코홀딩스(POSCO홀딩스(005490))는 27일 실리콘음극재 생산기술을 보유한 자회사 포스코실리콘솔루션에 591억원을 출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은 오는 6월 경북 포항 영일만산단에 연산 450톤(t) 규모의 실리콘음극재 1단계 생산설비 착공에 들어간다. 이는 오는 2024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한다. 실리콘음극재는 현재 리튬이온전지에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흑연음극재보다 에너지밀도를 4배 정도 높일 수 있어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과 동시에 충전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차세대 음극재다. 이 때문에 국내·외 배터리 제조사들은 실리콘음극재 함량을 높일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실리콘음극재 시장 규모는 오는 2030년까지 매년 34%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5% 미만인 실리콘음극재 함량도 2025년엔 10% 이상, 2030년엔 25%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그룹은 이차전지(배터리) 소재와 관련한 모든(Full) 가치사슬(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는 만큼 음극재 사업다각화를 목표로 차세대 실리콘음극재 사업을 추진하고자 지난해 7월 실리콘음극재 개발업체인 ‘테라테크노스’를 인수해 ‘포스코실리콘솔루션’으로 사명 변경했다. 이와 함께 포스코홀딩스 미래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의 기술 역량과 포스코케미칼의 생산 노하우를 결집하는 등 그룹사 역량을 총동원해 빠르게 생산설비 투자 준비에 들어갔다. 앞으로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은 2030년까지 연산 2만5000t의 실리콘음극재 생산체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포스코실리콘솔루션은 실리콘음극재 연속생산 기술을 통해 다른 업체 대비 높은 생산성을 가졌다는 게 경쟁력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배터리 업체 샘플 테스트를 통해 용량·팽창률 등 기본 특성에서 타사 대비 동등 이상의 특성을 나타낸다는 평가를 받았다. 포스코그룹은 이번 실리콘음극재 생산설비 투자가 완료되면 천연흑연, 인조흑연, 실리콘음극재까지 음극재 분야에서 모든 포트폴리오를 완성, 모든 품목(Full Line Up)을 갖추고 앞으로 이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포스코홀딩스는 리튬·니켈 원료사업 확장을 통해 기존 양극재·음극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또 동시에 실리콘음극재, 고체전해질, 리튬메탈 등 다양한 차세대 친환경소재에 대한 꾸준한 투자를 통해 앞으로 전개될 차세대 배터리 소재 영역에서의 경쟁력도 꾸준히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포스코홀딩스 CI (사진=포스코홀딩스)
- 임창윤 HLB인베스트먼트 대표 “바이오업계 ‘넷플릭스’ 될 것”
- [이데일리 김새미 기자] “HLB(028300)는 바이오업계의 ‘넷플릭스’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가 자체 제작 콘텐츠로 돈을 벌고 망으로 수수료 수익을 내듯이 신약으로 수익을 내고 망으로 수수료를 챙길 것입니다.”[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임창윤 HLB인베스트먼트 대표임창윤 HLB인베스트먼트 대표(HLB그룹 부회장)는 최근 이데일리와 서울 강남구 HLB인베스트먼트 대표 집무실에서 만나 이같이 말했다. ‘바이오 넷플릭스’라는 지향점에 대해서는 진양곤 HLB그룹 회장도 공감했다는 게 임 대표의 첨언이다. 임 대표는 2021년 8월 HLB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로 취임했으며, 올해 1월에는 HLB그룹 부회장으로 승진한 인물이다. 임 대표는 HLB그룹 전반의 투자 방향을 이끌게 됐다.바이오 넷플릭스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선 HLB그룹 인수·합병(M&A) 전략 3대 축부터 파악할 필요가 있다. HLB그룹의 M&A는 △고유 파이프라인의 선택적 확대·강화 △‘제2의 리보세라닙’ 확보 △비임상부터 미국 식품의약국(FDA) 신약 허가에 이르는 망 구축 등을 기반으로 결정된다.우선 HLB그룹이 보유한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일부 신약은 기술이전(License out)을 통해 내보내고, 핵심 신약 파이프라인 발전에 집중한다. 임 대표는 “파이프라인을 확대·발전 시키는 과정 속에서 도태시킬 건 도태시키고, 강화시킬 건 강화시킬 것”이라며 “라이선스 인(License-in), 라이선스 아웃하는 타이밍이 굉장히 중요하다. 일정 부분은 L/O를 통해 엑시트해야 한다”고 말했다.이어 그는 “지금의 HLB의 근간을 만든 것은 리보세라닙”이라며 “2030년까지 ‘제2의 리보세라닙’을 만들기 위해 시장에 나와있는 파이프라인들을 탐색해 투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사 측은 특정 품목만 라이선스인하거나 유망 신약을 보유한 업체를 인수해 해당 파이프라인을 흡수하는 방안을 모두 포함해 검토하고 있다.비임상부터 FDA 신약 허가에 이르는 망 구축은 이미 노터스 인수를 통해 어느 정도 가시화되고 있다. HLB그룹은 △신약후보물질 개발 통합신약연구소(HLB생명과학(067630)·HLB제약(047920)·HLB사이언스) △비임상 노터스(278650) △임상 HLB사이언스, 미국 자회사 엘레바·이뮤노믹·베리스모 등 △FDA 신약허가 신청 미국 자회사 엘레바 △의약품 제조·유통 HLB테라퓨틱스(115450)(백신 유통), HLB생명과학 계열사 신화어드밴스(의약품 유통) 등을 갖춰 신약후보물질 발굴부터 상업화까지 가능하도록 HLB 바이오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임창윤 HLB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집무실의 화이트보드에 HLB그룹 M&A 전략의 3대 축을 그리고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김새미 기자)HLB그룹이 최우선적으로 M&A를 물색할 분야는 인체 대상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일 것으로 전망된다. HLB그룹은 미국 자회사를 통해 해외 임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일부 임상은 CRO에 위탁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임 대표는 “(인체 대상) CRO 부분은 한 회사가 하기에는 너무 크다”며 “나중에 임상 3상까지 가게 되면 글로벌 임상으로 추진해야 하고, 결국 글로벌 임상 업체와 제휴해야 한다”고 내다봤다.HLB그룹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업체도 항상 인수 대상으로 오를 수 있는 후보다. 시장 규모가 제일 큰 항암제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것으로 예상된다. 희귀질환 의약품에 대한 관심은 적은 편이었다. 임 대표는 HLB그룹의 바이오 전문 인력들을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해 검토를 거친 후 M&A 여부를 결정한다고 밝혔다.특히 HLB그룹은 피인수 기업과 상생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다. 임 대표는 “HLB는 M&A를 하는 기업이라기보다는 밸류업(기업가치 상승)을 시켜주는 기업”이라며 “노터스, 지트리비앤티 등은 HLB그룹이 인수한 이후 정상 궤도로 올라갔으며, 비상장사인 에프에이와 에임도 각각 HLB, HLB생명과학의 사업부로 들어가면서 성장할 수 있는 여지를 갖게 됐다”고 설명했다.임 대표는 동부증권 재직 시절부터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그는 동부증권 IB사업부 이사로서 ‘미들 마켓(Middle Market)’ 최강자가 되겠다는 야심을 갖고 어드바이저리(Advisory)팀을 구성했다. 매출 500억~1500억원, 이익 50~200억원 규모의 중소형 업체 중 성장성이 큰 기업을 발굴해 함께 크자는 전략에서였다. 임 대표는 “그 때 실현하지 못한 것을 HLB그룹에 와서 다른 각도로 시도하고 있다”며 “(M&A를 통해) 투자자가 아닌 기업의 입장에서 벤처기업들의 성장을 돕는 것”이라고 부연했다.마지막으로 그는 HLB그룹이 이제 작은 기업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HLB그룹은 M&A를 통해 2022년 3분기 말 기준 상장사 7개사와 비상장사 38개사를 거느리는 바이오 그룹으로 거듭났다. 시가총액 규모만 총 4조원이 넘는다.임 대표는 “HLB는 묘수가 아니라 정수를 두는 기업으로 간다”며 “바둑으로 치면 본인이 지고 있을 때 거는 게 싸움이고 묘수다. 규모가 작거나 위기에 처해있는 기업들은 묘수를 쓸 수 있다. HLB는 이제 묘수를 쓰는 기업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한편 임 대표는 고려대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해 동대 경영대학원 재무학 석사 학위를 땄다. 그는 1999년 동부증권에 기획팀으로 입사해 전략기획실 부장, IB사업부 부장을 거쳤다. 이후 대성그룹 구조조정본부 이사, 포세카그룹 전략기획실 전무 등을 거치며 기업에서의 경험도 쌓아갔다. 임 대표가 HLB그룹에 몸을 담은 시점은 HLB파워(현 티에스넥스젠(043220)) 각자대표이사 자리에 오른 2016년 9월부터다.[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임창윤 HLB인베스트먼트 대표
- 드림텍, 삼성전자로부터 ‘갤럭시 품질 최우수상’ 수상
-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드림텍(192650)은 삼성전자(005930)로부터 ‘2022년도 MX사업부 갤럭시(Galaxy) 품질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7일 밝혔다.이는 삼성전자 MX사업부가 갤럭시 품질 및 고객 만족에 기여한 협력사에 수여하는 상이다. 드림텍은 삼성전자로부터 제조 공정 혁신, 자동화 등 제품 품질을 위한 다양한 성과를 인정받아 품질 최우수상 기업으로 선정됐다. 2012년, 2015년, 2016년, 2018년에 이어 이번이 총 5번째 수상이다.드림텍은 삼성전자에 스마트폰 PBA 모듈 등 각종 모듈 및 부품을 공급해왔다. 2016년에는 업계 최초로 스마트폰 지문인식 센서 모듈을 공급, ‘갤럭시A’ 시리즈 등 중저가 제품부터 ‘갤럭시Z폴드·플립’ 시리즈 등 플래그십 제품에도 공급하고 있다.드림텍 관계자는 “차별화된 제조 경쟁력을 토대로 완성도 높은 제품을 공급하고자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변화되는 스마트폰 시장에 적극 대응하며 최적의 모듈 및 부품을 개발, 공급하는 등 제품 품질 개선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드림텍은 1998년 설립 이후 스마트폰 PBA 모듈, 지문인식 센서 모듈, 스마트 의료기기 등을 개발 및 생산하는 종합전자부품 제조기업이다. 2019년 3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으며, 2020년 2월 카메라 모듈 전문기업 나무가를 인수해 카메라·ToF 사업에 진출했다. 현재는 베트남 공장에 이어 글로벌 생산거점 확대를 위해 인도 그레이터 노이다 지역에 약 8만1000㎡(약 2만 4000평)의 부지를 확보, 오는 2024년 가동을 목표로 스마트폰 부품 모듈과 스마트 의료기기 생산을 위한 공장 건축을 진행하고 있다.
- [재송]26일 장 마감 후 주요 종목 뉴스
-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다음은 26일 장 마감 후 주요 종목 뉴스다.△국도화학(007690)=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98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함. 같은 기간 매출은 1조6041억원으로 전년대비 1.7% 증가했고, 순이익은 48.6% 줄어든 807억원을 기록함.△GS건설(006360)=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제6구역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됨.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205번지 일원에 공동주택 1497세대 규모로 지어지는 이 사업의 공사금액은 4869억원. 이는 2021년 말 기준 연결 매출액의 5.39%에 해당.△케이티앤지(033780)(KT&G)= 2027년 그룹 전체 매출 목표치를 10조2000억원으로 설정했다고 공시함. 이는 지난해 추정 연 매출인 5조9000억원의 1.7배 규모. 차세대 제품(NGP)과 건강기능식품(KGC), 글로벌 궐련담배(CC)를 3대 핵심 사업으로 삼아 글로벌 CC사업 확장을 통한 이익을 NGP와 KGC에 투자하겠다고 밝힘.△롯데리츠(330590)= 보통주 1주당 143원의 금전 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함. 시가 배당률은 3.5%이며 배당금 총액은 347억7700만원,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31일.△현대자동차(005380)= 비영리법인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에 60억5000만원을 다음달 중 증여한다고 공시함. 이는 현대차 자산총액의 0.01%에 해당하는 규모. 회사 측은 “부품 협력사의 기술경쟁력 확보 지원을 위해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에 기부금을 출연하고 있고, 상기 거래는 부품 협력사 사업다각화 지원사업 등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설명.△LG전자(066570)=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3조5510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12.5% 감소했다고 공시함. 전년 동기 매출액은 83조4673억원으로 전년대비 12.9% 늘어남. 또 보통주 1주당 7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 시가배당률은 0.8%이며 배당금 총액은 1269억522만원,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31일. 우선주는 1주당 750원이 현금 배당. 우선주의 시가배당률은 1.7%.△LG헬로비전(037560)=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9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함.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8% 감소한 수치. 같은 기간 매출액은 28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줄어듬. 연간 누적으로는 매출이 8.1% 늘어난 1조1679억원, 영업이익이 20.9% 증가한 538억원.△카카오(035720)= 임직원이 보유한 보통주 1981주를 처분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함. 1주당 처분가액은 6만3700원, 총 처분가액은 1억2619만원. 이번에 처분한 주식은 임직원에게 자사주 상여금으로 지급.△액션스퀘어(205500)= 100% 자회사 액션스퀘어데브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함. 액션스퀘어는 합병 목적에 대해 “경영 효율성 증대를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라고 밝힘. △아이톡시(052770)= 팡스카이 주식 55만 5555주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함. 취득 금액은 9억9999만9000원으로, 자기자본대비 17.9% 규모. 취득 후 지분 비율은 12.6%. 아이톡시는 취득 목적에 대해 “사업다각화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라고 밝힘△한국제10호기업인수목적(409570)= 지난해 영업이익이 1억361만2719원 적자로 전년 동기 대비 570.2% 감소했다고 공시함. 같은 기간 순이익은 291만 962원으로 흑자 전환. 한국제10호스팩은 “금리 변동에 따른 이자손익 효과 및 온기 반영에 따른 효과”라고 밝힘△제일테크노스(038010)(03801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로부터 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받음. 공시 시한은 1월 27일 오후 6시까지. △상지카일룸(042940)= 주요 종속회사인 마스턴제103호논현피에프브이에 대해 611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공시함. 이는 자기자본대비 87.3% 규모. 채무 보증 기간은 1월 27일부터 3월 27일까지. △멜파스(096640)= 거인미디어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함. 멜파스는 합병 목적에 대해 “사업다각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 및 주주 이익 제고”라고 밝힘. △태성(323280)= 지난해 영업이익이 23억 3155만 9391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9.6% 감소했다고 공시함. 같은 기간 매출액은 612억 4795만 3344원으로 39.4% 증가. 순이익은 4억 7189만 5624원 적자로, 적자 전환. 태성은 “수주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에도 합병비용 등 일시적 요인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고 밝힘
- 26일 장 마감 후 주요 종목 뉴스
-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다음은 26일 장 마감 후 주요 종목 뉴스다.△국도화학(007690)=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한 98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함. 같은 기간 매출은 1조6041억원으로 전년대비 1.7% 증가했고, 순이익은 48.6% 줄어든 807억원을 기록함.△GS건설(006360)=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제6구역 주택 재개발 정비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됨.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205번지 일원에 공동주택 1497세대 규모로 지어지는 이 사업의 공사금액은 4869억원. 이는 2021년 말 기준 연결 매출액의 5.39%에 해당.△케이티앤지(033780)(KT&G)= 2027년 그룹 전체 매출 목표치를 10조2000억원으로 설정했다고 공시함. 이는 지난해 추정 연 매출인 5조9000억원의 1.7배 규모. 차세대 제품(NGP)과 건강기능식품(KGC), 글로벌 궐련담배(CC)를 3대 핵심 사업으로 삼아 글로벌 CC사업 확장을 통한 이익을 NGP와 KGC에 투자하겠다고 밝힘.△롯데리츠(330590)= 보통주 1주당 143원의 금전 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함. 시가 배당률은 3.5%이며 배당금 총액은 347억7700만원,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31일.△현대자동차(005380)= 비영리법인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에 60억5000만원을 다음달 중 증여한다고 공시함. 이는 현대차 자산총액의 0.01%에 해당하는 규모. 회사 측은 “부품 협력사의 기술경쟁력 확보 지원을 위해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에 기부금을 출연하고 있고, 상기 거래는 부품 협력사 사업다각화 지원사업 등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설명.△LG전자(066570)=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3조5510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12.5% 감소했다고 공시함. 전년 동기 매출액은 83조4673억원으로 전년대비 12.9% 늘어남. 또 보통주 1주당 700원의 결산 배당을 결정. 시가배당률은 0.8%이며 배당금 총액은 1269억522만원, 배당 기준일은 지난해 12월31일. 우선주는 1주당 750원이 현금 배당. 우선주의 시가배당률은 1.7%.△LG헬로비전(037560)=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9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함.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8% 감소한 수치. 같은 기간 매출액은 28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5% 줄어듬. 연간 누적으로는 매출이 8.1% 늘어난 1조1679억원, 영업이익이 20.9% 증가한 538억원.△카카오(035720)= 임직원이 보유한 보통주 1981주를 처분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함. 1주당 처분가액은 6만3700원, 총 처분가액은 1억2619만원. 이번에 처분한 주식은 임직원에게 자사주 상여금으로 지급.△액션스퀘어(205500)= 100% 자회사 액션스퀘어데브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함. 액션스퀘어는 합병 목적에 대해 “경영 효율성 증대를 통한 기업경쟁력 강화”라고 밝힘. △아이톡시(052770)= 팡스카이 주식 55만 5555주를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함. 취득 금액은 9억9999만9000원으로, 자기자본대비 17.9% 규모. 취득 후 지분 비율은 12.6%. 아이톡시는 취득 목적에 대해 “사업다각화를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라고 밝힘△한국제10호기업인수목적(409570)= 지난해 영업이익이 1억361만2719원 적자로 전년 동기 대비 570.2% 감소했다고 공시함. 같은 기간 순이익은 291만 962원으로 흑자 전환. 한국제10호스팩은 “금리 변동에 따른 이자손익 효과 및 온기 반영에 따른 효과”라고 밝힘△제일테크노스(038010)(038010)=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로부터 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조회공시를 요구받음. 공시 시한은 1월 27일 오후 6시까지. △상지카일룸(042940)= 주요 종속회사인 마스턴제103호논현피에프브이에 대해 611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고 공시함. 이는 자기자본대비 87.3% 규모. 채무 보증 기간은 1월 27일부터 3월 27일까지. △멜파스(096640)= 거인미디어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함. 멜파스는 합병 목적에 대해 “사업다각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 및 주주 이익 제고”라고 밝힘. △태성(323280)= 지난해 영업이익이 23억 3155만 9391원으로 전년동기대비 49.6% 감소했다고 공시함. 같은 기간 매출액은 612억 4795만 3344원으로 39.4% 증가. 순이익은 4억 7189만 5624원 적자로, 적자 전환. 태성은 “수주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에도 합병비용 등 일시적 요인으로 수익성이 감소했다”고 밝힘
- 우리금융 차기 회장 7명서 추린다…‘임·이·박’ 3파전
-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차기 우리금융그룹 회장 최종 후보군 선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장관급 관료 출신인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의 후보직 수락으로 1차 후보군(롱리스트)은 현직 내부 인사 5명과 외부 인사 2명으로 구성된 총 7명이 확정됐다. 당초 후보군에 포함됐던 김병호 전 하나금융 부회장은 막판에 후보직을 고사했다.업계에서는 마지막까지 내부와 외부 인사 간의 경쟁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원덕 우리은행장과 박화재 우리금융 사업지원총괄 사장, 임종룡 전 위원장의 3파전이 유력하다는 시각이다.이원덕 우리은행장(왼쪽부터), 박화재 우리금융 사업지원총괄 사장,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 사외이사들로 구성된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오는 27일 회동을 갖고 차기 회장 최종 후보군(숏리스트)에 포함될 2~3명을 확정할 예정이다.차기 회장 롱리스트는 7명이 추려졌다. 우리금융 내부 출신으로는 이원덕 행장과 박화재 사장, 신현석 우리아메리카 법인장, 김정기 우리카드 사장, 박경훈 우리금융캐피탈 사장 등 5명이 포함됐다. 외부 인사 중에서는 임종룡 전 위원장, 이동연 전 우리FIS 사장 등 2명이 포함됐다. 당초 후보군에 포함됐던 김병호 전 하나금융 부회장은 막판에 후보직을 고사했다. 우리금융 측 관계자는 “김병호 전 부회장은 지난 25일 회장 인선 절차에 참여하지 않기로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금융권에서는 이원덕 행장, 박화재 사장 등 내부 현직 인사들과 임종룡 전 위원장의 3파전 구도를 높게 점치고 있다. 1962년생인 이원덕 행장은 공주사대부고와 서울대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90년 옛 한일은행에서 은행 생활을 시작했다. 현재 우리금융 비상임이사를 겸직하며 최근 용퇴를 선언한 손태승 회장과 오랜 기간 손발을 맞추며 우리금융의 경영 전략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룹 전반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강점으로, 안정적 승계로 따지면 가장 적합한 인물로 꼽힌다.1961년생인 박화재 사장은 광주상고를 나와 옛 상업은행에 입행했다. 주택금융사업단장, 서초영업본부장, 여신그룹 담당 부행장 등을 거친 그룹 내 영업통으로 통하며, 그룹사 시너지와 비은행 포트폴리오 확대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우리금융의 다올인베스트먼트 인수를 성사시킨 것도 박 화재 사장이 진두지휘한 결과물이다.이번 인사는 상업·한일은행 출신으로 구분되는 계파 간 경쟁도 관전 포인트다. 우리은행은 1998년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이 합병해 한빛은행으로 통합 출범했다. 문제는 흡수 통합이 아닌 대등 합병이다 보니 인사 때마다 계파 논란이 불거지곤 한다. 이로 인해 내부적으로는 양측 인사가 번갈아 행장을 맡는 일종의 관례가 이뤄지기도 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손태승 회장과 이원덕 행장 모두 한일은행 출신이니 차기 회장은 상업은행 측 인사가 와야 하지 않겠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다른 한편에선 계파간 ‘핑퐁인사’도 이젠 허물어졌다는 시각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2008년부터 한일은행과 상업은행 출신이 번갈아 행장을 맡고, 임원도 양쪽 출신을 대등하게 구성하곤 했으나, 이순우·이광구 등 상업은행 출신이 연달아 행장에 오르면서 그간 관례도 무너졌다는 게 지배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름값으로 따지면 외부 인사인 임종룡 전 위원장이 유력 후보다. 1959년생인 임 전 위원장은 금융위원장과 국무총리실 실장(장관급), 기획재정부 1차관을 지낸 정통 관료 출신으로, 일찌감치 차기 우리금융 회장 낙점설이 돌았던 인물이다. 최근 임 전 위원장은 “우리금융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외부에서 좀 더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출사표까지 던졌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내부 출신으로 기울었던 우리금융 회장 자리가 막판 들어 외부 인사로 틀어지는 게 아니냐는 반응이다. 다만 우리금융 내부에서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우리금융 노조 측은 “우리은행이 중징계를 받은 사모펀드 사태는 임 전 금융위원장에 현직에 있을 당시 규제를 완화해서 지금 상황에 이른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면서 “어떤 일이 있어도 임 전 위원장이 차기 회장으로 등극하는 일은 막을 것이다. 영업중단까지 각오하고 있다”며 차기 회장에 내부 출신 인사를 선정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오는 27일 숏리스트를 압축한 임추위는 이후 이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프레젠테이션(PT) 등을 진행한다. 이르면 다음 달 단독 후보자를 확정할 예정이다. 내정된 차기 회장 후보는 3월 중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선임 절차를 거쳐 최종 선임된다.